기사쓰기의 활용
1) 가족 신문 만들기
2) 신문을 통해서 공부할 때
3) 신문과 기사의 정의와 출판 방법 파악
1. 기사의 종류
신문기사의 종류
1) 스트레이트 기사 : 곧장 어떤 사실을 직선으로 전하는 것, 핵심/결론 부터 이야기
2) 의견 기사 : 사설, 오피니언, 해설 기사 등
3) 기획 기사 : 어떤 특정 기사에 대해 심층적으로 보도하는 것
기사(뉴스) = 새로운 소식 혹은 시사성 있는 소식,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새로운 소식
기사는...
- 뉴스는 먼가를 전하는데 목적이 있음
-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하는 것이 생명
- 두괄식으로 전해야 함
--> 기사는 중요한 내용을 앞에다 배치해서 다른 사람들이 전부 읽지 않고도 무슨 내용인지 알게 해야 한다.
리드(lead)
- 맨 앞에서 전체 뉴스를 종합해서 전해주는 문장
ex) 17일 오후 방송된 MBC '무한도전'에서는 출연 멤버들이 직접 '무한도전 달력'을 배달해 시청자들에게 큰 감동을 안겼다.
어린이날을 맞아 놀이공원은 놀러 온 아이들로 크게 붐볐다.
2. 화제성 기사
신문기사의 종류
1) 화제기사
2) 사건기사
3) 미담기사
화제성 기사의 목적
- 의사소통이 가장 큰 목적
- 일어난 일을 전하는 기능 --> 뉴스는 그것을 가장 빨리 효율적으로 전하는 수단
"뉴스는 꼭 거창하고 특별한 것만이 아님"
--> 뉴스의 가치를 새롭게 부여하면, 작은 일도 가시가 될 수가 있다.
3. 주변에서 화제거리 찾기
가족 신문 제작
"생활 속에서 새롭고 특이한 일이라면 기사가 될 수 있음"
누구나 특종 기사가 될 수 있음
사진기사 쓰기
1) 가족의 주요 행사를 사진으로 촬영 --> 사진을 이용해 사실 위주로 기사를 쓰는 것
2) 여행 기사 쓰기
- 여행을 갔다 왔을 경우 여행사진을 쭉 나열
- 중요한 사진을 몇 장 골라 뉴스거리로 화보형태로 보여주기
- 각 사진 마다 밑에 사진설명 작성
- 그 장소에 대한 소감도 한마디 덧붙이기
4. 기사 쓰기 유의할 점
1) 존댓말을 쓰지 않음
- '선생님이 말씀하셨다.' 가 아니라 '말했다' 라고 함.
2) 문장을 가능한 짧게 작성
3) 어려운 말도 쓰면 안됨
- 초등학교 5학년을 기준으로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쉽게 써야 함
4) 의문을 주면 안됨
- 기사는 읽으면서 이해해야 함
- 용어나 사안 자체가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지만, 내용 자체는 쉽게 쓰여져야 함
- 상대를 신중하게 배려해야 함.
<실전 연습>
1) 그동안 찍었던 사진 중 가장 소중하다고 생각되는 사진을 가지고 신문 만들기. 사진 밑에는 반드시 설명 달기
2) 신문을 하나 구한 다음, 각 기사의 맨 앞줄 혹은 맨 앞 한 달락, 즉 리드 베껴쓰기
<강의 요약 자료>
'글쓰기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인강노트] 누구나 쉽게 따라하는 글쓰기 교실 -- 발명노트,발명계획서 (0) | 2013.09.19 |
---|---|
[인강노트] 누구나 쉽게 따라하는 글쓰기 교실 -- 독후감 (0) | 2013.09.17 |